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기후변화로 참진드기 북상…이 진드기가 옮기는 위험한 감염병은?

by 마이NOTE 2025. 5. 13.
반응형

기후변화로 참진드기 북상…이 진드기가 옮기는 위험한 감염병은?

최근 들어 기후 변화로 인해 참진드기 분포 지역이 북상하면서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부산·경남권처럼 따뜻한 남부 지역은 그 위험이 더 높아지고 있으며, 보건당국도 이에 대한 선제 대응에 나섰습니다.

그렇다면 참진드기란 무엇이고, 우리가 주의해야 할 감염병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반응형

🐞 참진드기란?

참진드기는 일반적으로 풀밭이나 산, 숲 근처에 서식하며 사람이나 동물의 피를 빨아 생존하는 기생 곤충입니다. 그중에서도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는 특히 주의가 필요한 진드기 종류입니다.

  • 🔹 크기: 3mm 정도이며, 피를 빨면 최대 10mm까지 팽창
  • 🔹 활동 시기: 주로 4월~11월 (특히 여름철 활발)
  • 🔹 분포 지역: 한국 전역(부산, 제주, 서울, 경기 등), 일본, 중국, 미국 등

🦠 참진드기가 옮기는 주요 감염병

1.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SFTS)

  • 증상: 고열, 구토, 설사, 출혈, 혈소판 감소
  • 치명률: 약 10~30%에 달할 수 있는 위험한 바이러스 질환
  • 전파 경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전염
  • 발생 지역: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
  • 국내 사례: 2013년 제주도에서 첫 사망자 발생, 이후 전국적으로 감염자 지속 발생 중

 

⚠️ 특히 노약자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야외활동 시 진드기 주의 필요!

2. 일본 홍반열 (Japanese Spotted Fever)

  • 증상: 발열, 발진, 림프절 붓기, 두통
  • 전파 경로: 참진드기 매개
  • 국내 발생 현황: 2013~2022년 사이 연평균 300명 이상 발생
  • 위험 지역: 일본과 인접한 경남권 등

 

🌡️ 왜 지금 위험성이 커졌을까?

기후변화로 인해 남부 지역의 연평균 기온이 2도 이상 상승하면서, 진드기의 서식 환경이 더 확장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부산의 연평균 기온은 1990년대 14.4도에서 2023년에는 16.7도까지 올라갔습니다.

이에 따라, 참진드기의 활동 시기가 길어지고 개체 수도 증가하면서 감염병 위험도 동반 상승 중입니다.


✅ 예방법 및 주의사항

🌿 야외 활동 전후 반드시 아래 사항을 확인하세요!

  • 긴 소매, 긴 바지 착용 (밝은 색 추천)
  • 기피제 사용 (진드기 퇴치제 뿌리기)
  • 야외활동 후 샤워 및 몸에 진드기 유무 확인
  • 반려동물도 진드기 체크 필수
  • 고열이나 몸살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 진료

📢 보건당국의 대응

질병관리청은 부산 경남권 지역을 중심으로 감염병 진단분석 협의체를 운영하며, 진드기 감염병에 대한 조기 진단과 예방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영미 질병청장:
"기후 변화로 진드기 감염병 위험이 커지고 있는 만큼, 기관 간 협력과 조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 마무리하며

진드기는 작은 존재이지만, 전파하는 바이러스는 매우 치명적입니다. 특히 기온이 오르는 계절과 지역에서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야외활동 시 진드기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조금이라도 이상 증상이 있다면 빠르게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여름철 조심해야 할 건강 적신호, ‘냉방병’! 원인부터 예방법까지 총정리

무더운 여름, 시원한 에어컨은 더위를 날려주는 최고의 친구죠. 하지만 장시간 냉방된 공간에 있다 보면 어느 순간 머리가 아프고, 배가 아프며, 몸이 축 늘어지는 느낌이 드는 경우가 있지 않으

sungjin79.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