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4절기 중 9번째 🌾 1년 중 가장 바쁜 절기, 망종(芒種)

by 마이NOTE 2025. 5. 4.
반응형

초여름의 열기가 무르익는 6월 초, 우리는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인 **망종(芒種)**을 맞이합니다.
양력으로는 대개 6월 6일경, 태양이 황경 75도에 도달할 무렵이며, 본격적인 모내기철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 망종(芒種)이란?

망종이란 한자로 ‘까끄라기 망(芒)’ 자에 ‘씨앗 종(種)’ 자를 써서,
**“까끄라기 있는 곡식을 뿌리기 좋은 때”**라는 뜻입니다.
쉽게 말해, 벼와 같은 곡식의 씨를 뿌리기 알맞은 절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시기는 곡식을 심고, 익은 보리를 베어들이는 바쁜 시기이자 농사의 결정을 좌우하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 옛말에 담긴 지혜

망종과 관련해 전해 내려오는 속담들이 많습니다.

  •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
    망종이 지나기 전에 보리를 베지 않으면 바람에 쓰러질 위험이 크기 때문이죠.
  • “보리는 익어서 먹고, 볏모는 자라서 심는 때가 망종이다.”
    망종은 말 그대로 수확과 파종이 동시에 일어나는 교차점입니다.
  • “망종 삼일 전까지 보리를 베라.”
    그만큼 시간 싸움이 치열한 농사의 절정기였다는 걸 보여줍니다.

반응형

🌧️ 비와 천둥, 풍년의 징조?

농촌에서는 망종 무렵의 날씨를 보며 그해 농사를 점쳤습니다.

  • 비가 오면 풍년,
  • 천둥이 치면 불길,
  • 우박이 내리면 오히려 시절이 좋다는 믿음도 있었죠.

또한 **‘망종보기’**라 하여 망종이 언제 드느냐에 따라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했습니다.


🌾 지역별 풍속과 시절음식

📍 제주도에서는
풋보리 이삭을 손으로 비벼 알곡을 볶고 갈아 보릿가루 죽을 끓여 먹었습니다.
이걸 먹으면 여름철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었죠.

📍 전남 지역에서는
보리그스름’이라 하여 보리를 그을려 먹으면 풍년이 든다고 여겼습니다.
또 밤이슬 맞은 보리를 먹으면 허리병이 낫고, 무병장수한다고 믿었습니다.

📍 경남 도서지역에서는
망종이 너무 일찍 들어도, 너무 늦게 들어도 좋지 않다며
음력 4월 중순쯤 들어야 좋다고 여겼습니다.


💬 망종이 주는 메시지

망종은 단지 절기 하나를 넘어,
바쁜 일상 속에서도 때를 놓치지 않는 삶의 지혜를 일깨워줍니다.
한창 자라고, 한창 거두어야 할 때.
지금이 바로 ‘움직일 때’라는 신호입니다.

 

2025.04.30 - [생활정보] - 🌿24절기?24절기 여덟 번째 절기, 소만(小滿) — 여름이 차오르기 시작할 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