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여름의 열기가 무르익는 6월 초, 우리는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인 **망종(芒種)**을 맞이합니다.
양력으로는 대개 6월 6일경, 태양이 황경 75도에 도달할 무렵이며, 본격적인 모내기철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 망종(芒種)이란?
망종이란 한자로 ‘까끄라기 망(芒)’ 자에 ‘씨앗 종(種)’ 자를 써서,
**“까끄라기 있는 곡식을 뿌리기 좋은 때”**라는 뜻입니다.
쉽게 말해, 벼와 같은 곡식의 씨를 뿌리기 알맞은 절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시기는 곡식을 심고, 익은 보리를 베어들이는 바쁜 시기이자 농사의 결정을 좌우하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 옛말에 담긴 지혜
망종과 관련해 전해 내려오는 속담들이 많습니다.
-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
망종이 지나기 전에 보리를 베지 않으면 바람에 쓰러질 위험이 크기 때문이죠. - “보리는 익어서 먹고, 볏모는 자라서 심는 때가 망종이다.”
망종은 말 그대로 수확과 파종이 동시에 일어나는 교차점입니다. - “망종 삼일 전까지 보리를 베라.”
그만큼 시간 싸움이 치열한 농사의 절정기였다는 걸 보여줍니다.
🌧️ 비와 천둥, 풍년의 징조?
농촌에서는 망종 무렵의 날씨를 보며 그해 농사를 점쳤습니다.
- 비가 오면 풍년,
- 천둥이 치면 불길,
- 우박이 내리면 오히려 시절이 좋다는 믿음도 있었죠.
또한 **‘망종보기’**라 하여 망종이 언제 드느냐에 따라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했습니다.
🌾 지역별 풍속과 시절음식
📍 제주도에서는
풋보리 이삭을 손으로 비벼 알곡을 볶고 갈아 보릿가루 죽을 끓여 먹었습니다.
이걸 먹으면 여름철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었죠.
📍 전남 지역에서는
‘보리그스름’이라 하여 보리를 그을려 먹으면 풍년이 든다고 여겼습니다.
또 밤이슬 맞은 보리를 먹으면 허리병이 낫고, 무병장수한다고 믿었습니다.
📍 경남 도서지역에서는
망종이 너무 일찍 들어도, 너무 늦게 들어도 좋지 않다며
음력 4월 중순쯤 들어야 좋다고 여겼습니다.
💬 망종이 주는 메시지
망종은 단지 절기 하나를 넘어,
바쁜 일상 속에서도 때를 놓치지 않는 삶의 지혜를 일깨워줍니다.
한창 자라고, 한창 거두어야 할 때.
지금이 바로 ‘움직일 때’라는 신호입니다.
2025.04.30 - [생활정보] - 🌿24절기?24절기 여덟 번째 절기, 소만(小滿) — 여름이 차오르기 시작할 때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24절기 여덟 번째 절기, 소만(小滿) — 여름이 차오르기 시작할 때 (0) | 2025.05.03 |
---|---|
입하(立夏) | 24절기 7번째 여름 시작, 의미와 풍습 총정리 🌿 (0) | 2025.05.02 |
청년내일저축계좌 2025 자격조건·신청방법 총정리 (0) | 2025.05.01 |
🌾 24절기 중 6번째, '곡우(穀雨)' 완벽 정리! (0) | 2025.05.01 |
청명(淸明) | 24절기 다섯 번째, 봄 농사의 시작과 전통 풍속 🌱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