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초여름의 열기가 무르익는 6월 초, 우리는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인 **망종(芒種)**을 맞이합니다.
양력으로는 대개 6월 6일경, 태양이 황경 75도에 도달할 무렵이며, 본격적인 모내기철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 망종(芒種)이란?

망종이란 한자로 ‘까끄라기 망(芒)’ 자에 ‘씨앗 종(種)’ 자를 써서,
**“까끄라기 있는 곡식을 뿌리기 좋은 때”**라는 뜻입니다.
쉽게 말해, 벼와 같은 곡식의 씨를 뿌리기 알맞은 절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시기는 곡식을 심고, 익은 보리를 베어들이는 바쁜 시기이자 농사의 결정을 좌우하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 옛말에 담긴 지혜

망종과 관련해 전해 내려오는 속담들이 많습니다.

  •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
    망종이 지나기 전에 보리를 베지 않으면 바람에 쓰러질 위험이 크기 때문이죠.
  • “보리는 익어서 먹고, 볏모는 자라서 심는 때가 망종이다.”
    망종은 말 그대로 수확과 파종이 동시에 일어나는 교차점입니다.
  • “망종 삼일 전까지 보리를 베라.”
    그만큼 시간 싸움이 치열한 농사의 절정기였다는 걸 보여줍니다.

반응형

🌧️ 비와 천둥, 풍년의 징조?

농촌에서는 망종 무렵의 날씨를 보며 그해 농사를 점쳤습니다.

  • 비가 오면 풍년,
  • 천둥이 치면 불길,
  • 우박이 내리면 오히려 시절이 좋다는 믿음도 있었죠.

또한 **‘망종보기’**라 하여 망종이 언제 드느냐에 따라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했습니다.


🌾 지역별 풍속과 시절음식

📍 제주도에서는
풋보리 이삭을 손으로 비벼 알곡을 볶고 갈아 보릿가루 죽을 끓여 먹었습니다.
이걸 먹으면 여름철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었죠.

📍 전남 지역에서는
보리그스름’이라 하여 보리를 그을려 먹으면 풍년이 든다고 여겼습니다.
또 밤이슬 맞은 보리를 먹으면 허리병이 낫고, 무병장수한다고 믿었습니다.

📍 경남 도서지역에서는
망종이 너무 일찍 들어도, 너무 늦게 들어도 좋지 않다며
음력 4월 중순쯤 들어야 좋다고 여겼습니다.


💬 망종이 주는 메시지

망종은 단지 절기 하나를 넘어,
바쁜 일상 속에서도 때를 놓치지 않는 삶의 지혜를 일깨워줍니다.
한창 자라고, 한창 거두어야 할 때.
지금이 바로 ‘움직일 때’라는 신호입니다.

 

2025.04.30 - [생활정보] - 🌿24절기?24절기 여덟 번째 절기, 소만(小滿) — 여름이 차오르기 시작할 때

반응형
반응형

🌿24절기�24절기 여덟 번째 절기, 소만(小滿) — 여름이 차오르기 시작할 때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 소만(小滿). 이름만으로는 그 의미가 와닿지 않을 수 있지만, 이 시기는 자연도, 농촌도, 우리의 생활도 바쁘게 꿈틀대기 시작하는 본격적인 여름의 문턱입니다.

☀️ 소만은 언제일까?

소만은 입하와 망종 사이, 음력 4월 무렵이자 양력 5월 21일경에 찾아옵니다.
이 시기는 태양이 황경 60도의 위치에 도달하는 날로, 천문학적으로도 여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지점입니다. 햇살은 점점 강해지고, 들과 산에는 생명력이 넘쳐납니다.


🌾 농사의 시작, 소만은 바쁜 절기

소만은 예부터 농촌에서 **‘1년 중 가장 바쁜 시기’**로 여겨졌습니다.

  • 모내기 준비가 본격화되고,
  • 가을보리를 베기 시작하며,
  • 밭농사의 김매기(잡초 제거)가 잇따릅니다.

과거에는 모판에서 모를 키우는 데 45~50일이 걸렸지만, 오늘날에는 비닐모판의 도입으로 40일 이내에 모가 충분히 자랍니다. 덕분에 소만 무렵부터 바로 모내기를 시작하는 곳도 많습니다.


🍃 중국 고전에서 본 소만의 세 가지 변화 (삼후·三候)

중국의 전통 기록에서는 소만과 망종 사이 시기를 **삼후(三候)**로 나누어 자연의 변화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1. 초후(初候) – 씀바귀가 뻗어 오릅니다.
  2. 중후(中候) – 냉이가 누렇게 시들어갑니다.
  3. 말후(末候) – 보리가 여물어 익습니다.

이 중 씀바귀는 꽃상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뿌리와 줄기, 잎 모두 식용으로 쓰이며, 냉잇국은 이맘때 꼭 챙겨 먹는 봄철 별미로 사랑받아왔습니다.


💧 가뭄과 물 관리의 중요성

소만 무렵에는 갑작스런 가뭄이 찾아올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예부터 농가에서는 관개용수 확보논에 물 대기 등 철저한 대비를 해왔습니다. "소만에 비 오면 풍년 든다"는 속담은, 이 시기의 강수량이 그해 농사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 '소만'이 주는 메시지

‘소만(小滿)’은 조금 찼다는 뜻을 지닙니다. 아직은 완전하지 않지만, 자연도, 곡식도, 우리 삶도 천천히 무르익어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절기입니다.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자연처럼 우리도 조금씩 성장하고, 조금씩 채워가며 살아가는 것이니까요.

 

2025.04.29 - [생활정보] - 입하(立夏) | 24절기 7번째 여름 시작, 의미와 풍습 총정리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