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4절기🌞 하지(夏至)란? — 낮이 가장 긴 날, 여름 절정의 시작

by 마이NOTE 2025. 5. 8.
반응형

 

6월이 깊어지며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 바로 **하지(夏至)**입니다.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인 하지,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요? 이 시기의 자연과 농사, 세시풍속까지 자세히 알아봅니다.

4절기🌞 하지(夏至)란? — 낮이 가장 긴 날, 여름 절정의 시작


📅 하지의 시기와 의미

**하지(夏至)**는 양력 기준으로 매년 6월 21일 또는 22일 무렵에 해당하며, 태양의 황경이 90도에 도달하는 시기입니다.
이때는 북반구에서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태양이 가장 높게 뜨는 날로, 서울 기준 낮 길이가 약 14시간 35분에 달합니다.

🌞 하지 = 태양의 정점 = 여름의 본격적인 시작


🌾 하지와 농촌의 풍경

하지 무렵 농촌은 말 그대로 ‘전쟁’입니다.
본격적인 장마철이 시작되기 전, 모내기와 감자 수확, 고추밭 김매기, 보리 타작 등 농작업이 집중됩니다.

하지 무렵의 주요 농작업

  • 🌾 모내기 마무리
  • 🥔 감자 수확
  • 🌶️ 고추밭 김매기
  • 🧄 마늘 수확 및 건조
  • 🌱 그루갈이용 늦콩 심기
  • 🪰 병충해 방제 작업

📌 “하지 지나면 오전에 심은 모와 오후에 심은 모가 다르다.”
👉 모심기 타이밍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반응형

🌧️ 하지와 기우제 풍습

하지까지 비가 오지 않으면 가뭄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에, 예부터 기우제가 활발히 행해졌습니다.

  • ⛰️ 산이나 냇가에 제단을 마련
  • 🐓 제물로 돼지, 닭, 술, 떡 등을 사용
  • 🧙 무당이 주관하거나, 마을 대표가 제사 지냄
  • 🐂 동물 피를 산에 뿌리는 의식도 있었음

“비가 와야 한 해 농사가 산다.”
비는 농사의 성패를 가르는 절대 조건이었습니다.


🥔 하지의 세시풍속 — 감자와 보리

하지 무렵에는 감자를 캐어 먹는 풍습도 있습니다.
강원도 평창에서는 하지 날 감자를 하나라도 밥에 넣어 먹으면 감자가 잘 열린다고 믿었습니다.

“하짓날은 감자 캐먹는 날이고, 보리 환갑이다.”
하지 이후로는 보리가 잘 여물지 않기에 ‘환갑’이라 표현했습니다.


📜 고문헌 속 하지 이야기

고려시대 『고려사』에서는 하지 기간 15일을 5일씩 끊어 세 단계로 나누었습니다.

  • 초후: 사슴이 뿔을 간다
  • 차후: 매미가 울기 시작
  • 말후: **반하(半夏)**라는 약초의 알이 생긴다

이처럼 하지에는 자연의 흐름과 생명력이 살아 숨 쉬는 다양한 현상들이 관찰됩니다.

 

24절기 중 9번째 🌾 1년 중 가장 바쁜 절기, 망종(芒種)

초여름의 열기가 무르익는 6월 초, 우리는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인 **망종(芒種)**을 맞이합니다.양력으로는 대개 6월 6일경, 태양이 황경 75도에 도달할 무렵이며, 본격적인 모내기철이 시작되

sungjin79.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