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가 시작되며 장마가 한창인 시기, 절기상으로는 **소서(小暑)**입니다. 하지와 대서 사이에 위치한 이 절기는 더위의 문턱이라 불리며, 농촌에서는 또 하나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소서의 의미, 농촌의 풍경, 세시풍속 등을 중심으로 자세히 알아봅니다.
📅 소서의 시기와 뜻
- **소서(小暑)**는 24절기 중 열한 번째 절기입니다.
- 매년 양력 7월 5일 전후, 태양의 황경이 105도에 이를 때 소서가 시작됩니다.
‘소서’는 글자 그대로 ‘작은 더위’, 즉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기 직전을 뜻합니다.
소서 이후 기온과 습도가 급격히 오르며 여름 한가운데로 접어듭니다.
☀️ 소서와 날씨의 특징
소서는 흔히 장마철 한가운데에 위치합니다.
한반도 중부지방을 가로지르는 장마전선으로 인해 습도와 강수량이 최고조에 달합니다.
- ⛈️ 습한 날씨
- ☁️ 흐리고 무더운 날이 많음
- 🌧️ 비가 자주 내림
장마와 더위가 겹쳐 찜통 같은 날씨가 이어지는 시기입니다.
🌾 소서와 농촌의 일상
소서는 하지 이후 논에 심은 모가 뿌리를 안정적으로 내리는 시기입니다.
농가에서는 논과 밭의 관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모내기의 적기이기도 했습니다.
주요 농사 활동
- 🌱 논매기 시작 (초벌 매기)
- 🧺 논둑, 밭두렁 풀 베기 및 퇴비 만들기
- 🌾 가을작물 파종 (콩, 팥, 조 등)
- 🌽 밀·보리 수확 후 음식에 활용
📌 충남 공주 지역에서는 “하지 전 3일, 하지 후 3일”에 모를 내고 소서 무렵까지 모내기를 마친다는 풍습이 전해져 내려옵니다.
🍎 소서의 세시풍속과 음식
소서 무렵은 과일과 채소가 풍성한 시기입니다.
예전에는 소서 즈음 음력 6월을 농한기로 여겨, 밀가루 음식을 해 먹으며 잠시 여유를 즐기기도 했습니다.
- 🥟 밀가루로 부침개, 국수, 수제비 등 조리
- 🍇 과일류 (참외, 수박, 복숭아) 소비 증가
- 🥬 여름철 채소와 반찬 준비
🐞 고문헌 속 소서 풍경
『고려사』에는 소서 무렵의 자연 변화를 다음과 같이 묘사합니다.
- 초후(初候): 따뜻한 바람이 불어온다
- 차후(次候): 귀뚜라미가 벽에서 살기 시작
- 말후(末候): 매가 새를 잡기 시작
이처럼 자연의 변화를 감지하며 농사와 생활을 조절해 온 선조들의 지혜가 엿보입니다.
✅ 마무리하며
소서는 본격적인 무더위와 장마가 교차하는 여름의 중간 지점입니다.
자연의 흐름에 귀를 기울이며, 조상의 삶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절기이기도 하죠.
👉 건강한 여름을 보내기 위해 이 시기에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 그리고 농사의 흐름을 돌아보는 시간으로 삼아보세요.
📌 매년 7월 초, 소서의 의미를 되새기며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지혜를 떠올려보시기 바랍니다. 🌿
24절기🌞 하지(夏至)란? — 낮이 가장 긴 날, 여름 절정의 시작
6월이 깊어지며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 바로 **하지(夏至)**입니다.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인 하지,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요? 이 시기의 자연과 농사, 세시풍속까지 자세히 알아봅니
sungjin79.com
24절기 중 9번째 🌾 1년 중 가장 바쁜 절기, 망종(芒種)
초여름의 열기가 무르익는 6월 초, 우리는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인 **망종(芒種)**을 맞이합니다.양력으로는 대개 6월 6일경, 태양이 황경 75도에 도달할 무렵이며, 본격적인 모내기철이 시작되
sungjin79.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변화로 참진드기 북상…이 진드기가 옮기는 위험한 감염병은? (0) | 2025.05.13 |
---|---|
🔥 대서(大暑)란? — 더위의 절정, 여름의 끝자락|의미|특징|세시풍속 (0) | 2025.05.10 |
24절기🌞 하지(夏至)란? — 낮이 가장 긴 날, 여름 절정의 시작 (0) | 2025.05.08 |
24절기 중 9번째 🌾 1년 중 가장 바쁜 절기, 망종(芒種) (0) | 2025.05.04 |
🌿24절기?24절기 여덟 번째 절기, 소만(小滿) — 여름이 차오르기 시작할 때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