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 대서(大暑)란? — 더위의 절정, 여름의 끝자락|의미|특징|세시풍속

by 마이NOTE 2025. 5. 10.
반응형

 

🔥 대서(大暑)란? — 더위의 절정, 여름의 끝자락

여름 절기의 절정, 말 그대로 큰 더위를 뜻하는 대서(大暑).
소서에서 시작된 더위가 정점을 찍는 시기이며, 한 해 중 기온이 가장 높은 절기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대서의 의미, 날씨, 옛 풍습, 농사 일정 등을 자세히 알아봅니다.


📅 대서의 시기와 의미

  • **대서(大暑)**는 24절기 중 열두 번째 절기입니다.
  • 양력 7월 22~24일경, 태양의 황경이 120도에 도달할 때 찾아옵니다.
  •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에 위치합니다.

대서는 문자 그대로 ‘큰 더위’, 즉 **혹서(酷暑)**의 정점을 뜻합니다.

반응형

☀️ 대서의 날씨 특징

대서는 **삼복 중 중복(中伏)**과 겹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마가 끝나고 강한 햇볕고온다습한 기운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죠.

주요 특징

  • 🔥 불볕더위, 찜통더위
  • 🌧️ 장마 잔재로 인해 때때로 큰 비
  • 🌡️ 1년 중 최고 기온 기록

예로부터 “염소 뿔도 녹는다”는 말이 있을 만큼 무더위가 혹독했던 시기입니다.


🌾 대서와 농촌 풍경

대서는 본격적인 여름철 농작물 관리 시기로, 농촌은 매우 바쁜 때입니다.

주요 농사 일정

  • 🧺 논밭 김매기, 잡초 제거
  • 🧑‍🌾 퇴비 장만, 물 관리
  • 🍉 수박, 참외, 채소 수확
  • 🌾 햇밀, 보리 소비 시작

이 시기의 날씨에 따라 과일의 당도가 결정되기도 합니다.

  • ☔ 비가 많으면 당도 ↓
  • 🌞 가물면 맛이 깊어짐 ↑

🐞 고문헌 속 대서 풍경

『고려사』에 기록된 대서의 삼후(三候)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초후(初候): 썩은 풀에서 반딧불이 나온다
  • 차후(次候): 흙에 습기가 많고 무덥다
  • 말후(末候): 큰 비가 때때로 내린다

자연의 세밀한 변화들을 통해 선조들은 계절의 흐름을 파악했습니다.


🏞️ 대서의 세시풍속

대서는 삼복더위 중 가장 더운 시기입니다.
예전 사람들은 **계곡이나 산정(山亭)**으로 피서를 떠나 술과 음식을 즐기며 더위를 달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 🧊 피서 여행
  • 🍉 여름 과일과 시원한 음식
  • 🥢 삼계탕, 냉면 등 보양식 섭취
  • 🥂 삼복맞이 나들이 문화

이 시기의 휴식은 단순한 피서가 아니라, 더위에 대비한 지혜로운 조절이었습니다.


🧱 오행설과 ‘토용(土用)’

대서는 **오행설에서 ‘토기(土氣)’가 강해지는 토왕지절(土旺之節)**과도 관련 있습니다.
이 시기를 **‘여름의 토용(土用)’**이라 하며, 흙과 관련된 일을 피해야 한다는 속신도 전해져 내려옵니다.

⚠️ **‘토용에는 흙일을 삼가라’**는 말도 이 속신에서 비롯됨.

✅ 마무리하며

대서는 한 해의 더위가 절정에 이르는 시기입니다.
장마 후 찾아오는 무더운 날씨와 농사철의 분주함, 그리고 그 속에서도 더위를 슬기롭게 이겨낸 선조들의 지혜가 깃들어 있죠.

👉 더위를 이기기 위한 보양식 섭취, 충분한 수분 보충,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입니다.

올여름 대서 무렵, 건강과 자연의 흐름을 되새기며 지혜롭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

 

🌿 소서(小暑)란? — 본격적인 여름 더위의 시작 |특징 |세시풍속

무더위가 시작되며 장마가 한창인 시기, 절기상으로는 **소서(小暑)**입니다. 하지와 대서 사이에 위치한 이 절기는 더위의 문턱이라 불리며, 농촌에서는 또 하나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기도 합니

sungjin79.com

 

 

24절기🌞 하지(夏至)란? — 낮이 가장 긴 날, 여름 절정의 시작

6월이 깊어지며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 바로 **하지(夏至)**입니다.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인 하지,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요? 이 시기의 자연과 농사, 세시풍속까지 자세히 알아봅니

sungjin79.com

 

반응형